22.02.26 백두대간 49차 봉화산-복성이재-여원재 구간 | 22.02.26 백두대간 49차 봉화산-복성이재-여원재 구간 | 매요마을 관통하는 백두대간 백두대간 마루금 유일한 산불방지초소 멀리서 본 고남산, 백두대간도 이렇게 멀리 한눈에 보고싶다 여원재의 폐가화된 휴게소 여원재에 주차한 후 6시 30분 버스타고 사치마을인근까지 가서 사치재로가서 산행시작. 백두대간산행 2022.03.04
22.02.18,19 백두대간 48차 덕유산- 지리산 중간 연결 구간 덕산재- 대덕산 -삼도봉(초점산)- 소사고개-삼봉산-수정봉-빼재(신풍령) 구간을 줄이고 줄여서 무주 도마리에서 초점산-대덕산 오르고, 거창 고제면 금봉암에서 삼봉산에 오르고, 다음날 함양 백전면사무소앞에서 월경산- 백운산- 묵계암- 상연대(암자)로 하산하여 신촌리에서 종료. 거창의 금봉암이나 함양의 상연대는 지도상에는 등산로로 오르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실제는 포장된 구비구비 수십구비 임도길로 오르게 된다. 백운산에서 만난 노인이 잠시 들려주는 지리산 백운산 덕유산을 주변으로 한 해방후 그리고 6.25전후의 빨치산관련 이야기는 더욱더 체계적으로 알고 싶어졌다. 백두대간산행 2022.02.21
22.02.12 백두대간 47차 지리산 벽소령-장터목구간 함양군 마천면 송알리 주차 07:05 송알에서 버스로 음정마을까지 07:10 음정마을에서 1951년도에 지리산 공비토벌및 양민학살시 만들어진 임도길 따라 벽소령에 도착 09:10 벽소령휴게소, 세석평전, 장터목휴게소에서 하산길 백무동 버스정류장에서 16시 버스로 송알마을까지. 잘 관리되고 있는 등산로, 천이과정을 밟고있는 조릿대의 군락. 백두대간산행 2022.02.16
22.02.05 백두대간 46차 덕유산 구간 ( 동엽령, 영취산,육십령) 덕유산 안성탐방안내소 출발 04:10 단독 럿셀 동엽령 06:10 향적봉 08:00 동엽령 09:50 안성탐방안내소 도착 11:30 육십령고개, 벽계쉼터에서 육십령. 백두대간산행 2022.02.10
백두대간44차 덕유산 영각사-남덕유-삿갓재대피소 구간(22.01.08) 새해 첫 산행. 함양군 서상면 영각사앞 주차. 08:00시 6km 걸어서 거창 북상면 황점마을에서 등산 시작. 다소 늘어난 등산객들, 이미 겨울잠 들어간 지리산 반달곰. 삿가재대피소에 여럿 등산객. 능선은 아이젠를 착용해야 편한 정도의 눈길. 월성재를 거쳐 남덕유산에 이른다. 2주를 쉬고 산행하려니 다소 벅차다. 덕유산 그리고 멀리 지리산으로 추정되는 산군들이 보기 좋다. 서봉을 거쳐 육십령가는 길 중간의 삼자봉에서 남덕유청소년수련원과 영각사에 이르는 하산길. 예상보다 긴 시간, 9시간 30분. 17:30 주차장엔 내 차 혼자 . 다들 갔다. 덕유교육원으로 가는 길 찾기 쉽지않다 다소 긴거리로 가다보니 책판박물관이 보인다. 백두대간산행 2022.01.11
백두대간43차 덕유산 횡경재-빼재 11KM 구간(21.12.11) | 남덕유분소앞 주차(송계계곡, 송계사입구) 조금 내린 눈길, 계곡길로 횡경재에 이른다 다소 눈이 쌓여 두 차례 길을 잃었으나 크랭글의 도움으로 제길로. 대봉 갈미봉 빼봉,그리고 빼재(신풍령). 한 부부팀과 1인을 만나다. 원점으로 돌아가는 길은 포장도로 터벅터벅 빼재주변의 계곡면에 대단위 산양삼 재배지. 주차장에서 김해 봉하 들러 서울로! 백두대간산행 2021.12.21
21.12.17 경남 거창군을 둘러보다 거창으로 향하면서 마음에 둔 곳들; 경남 함양 안의 초,중,고( 동창의 출신학교0, 용원정,견계정, 거창향교,덕천서원,침류정, 심소정, 갈천서당,강선대,용암정,수승대,동계정온종택,당산리 당송 등이었으나 늘 그랬듯 이번에도 일부만. 김해 봉하 묘역 김해 봉하마을 시민문화센타(가칭) 백두대간주변을 여행하며 2021.12.21
백두대간 42차 김천 덕산재-김천 삼도봉 구간(21.11.27) 김천 지례면 상부정류장 주차, 무주 무풍행 07:15 버스탑승, 대덕거쳐 덕산재 하차. 덕산재에서 시작하여 부항령 거쳐 삼도봉에 다다른 후 해인리로 하산하여 하대3거리에서 3시35분 버스타고 지례 상부정류장 하차. 해인산장의 울타리 사철나무가 인상깊었으며 해인농원의 아주 넒은 여러 경작지가 인상깊었다> 점점더 대간등산객들이 많아진다. 해인산장과 사철나무 울타리 백두대간산행 2021.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