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6

백두대간 종주 제 20일차 21.05.15 ( 삽당령-닭목령15km 구간 ) |

강릉 성산면사무소 주차. 성산면사무소앞 버스 06:25 출발 06:55 삽당령도착 삽당령에는 인터넷에서 보여지듯 천막으로 덮힌 간이매점이 있다 비가 간간히 내리는 등산로, 군데군데 휴ㅜ식장소 그리고 길안내표지판 단풍취를 비롯한 많은 야생화들이 봄을 맞이하고 있다. 작년에 땅에 내린 도토리는 싹을 내밀어 흙을 찾고 있다. 닭목령에서 백두대간꾼들을 서너명 보고 잠시 이야기 나눈뒤 다시 버스를 타고 성산면사무소에 13:10 내린다. 백두대간을 마치고 동해와 삼척의 몇 곳을 들러본뒤 정선군의 반론산에 올라 한때 최고령이었던 높이 5미터, 수령 200년 철쭉나무를 본다. 그리고 귀가길.

백두대간산행 2021.05.17

백두대간 종주 제 19일차 21.05.09 ( 진동호수-단목령 5.7km 구간 )

진동호입구 주차, 05:20산행시작 진동호, 북암령, 단목령 그리고 하산시작 이름그대로 이 구간은 야생화 천국이라는 곰배령 진입직전의 등산로임이 확실할 정도로 많은 야생화들이 보인다. 산림청 곰배령탐방센타 입구를 거쳐 진동호입구까지 걷는중 좌우의 많은 펜션시설들과 명이나물등 나물재배 밭도 많이 보인다. 단풍취 곰배령은 산림청 운영하는 탐방센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서로 입구에서 예약제로 운영된다.

백두대간산행 2021.05.10

백두대간 종주 제 18 일차 21.05.08 ( 조침령- 연가리삼거리 9km 구간 )

연가리골 적암에 주차하고 버스가 시각표대로 운행되지 아니하여 걸어서 진동2리 바람불이 조침령터널입구에 이른후 백두대간길에 접속하는 터널 우측 임도로 조침령( 옛조침령으로 짐작됨)에 도착. 강원도 북부 지방 여러 곳에는 돼지바이러스전염막기위한 맷돼지남하 저지 철조망이 많이 보임. 한 차례 길을 놓치고 단 한명의 등산객도 보지 못하고 연가리로 내려가는 삼거리를 거쳐 연가리 계곡길을 따라 연가리에 도착함. 계곡 물가에는 어렵게 산을 깍아 비닐이나 차광막을 이용한 농막형식의 시설물들에 거의 외지인들이 들어와서 나물등을 기르며 지내는 것이 보인다. 그들도 외로운듯 말을 걸어주면 밝은 얼굴로 대해준다. 기린면 현리에서 시작하는 418번지방도로는 방태산의 북방면에서 시작된 여러 물길들이 진동천을 이뤄간다. 그 물길들..

백두대간산행 2021.05.10

백두대간 종주 제 17일차 21.04.24 ( 닭목령- 대관령 13km 구간 )

횡계에서 송천 계곡을 따라 안반데기를 넘어 닭목령 주차. 닭목령에서 맹덕봉, 고루포기산, 능경봉 그리고 대관령 대관령에서 걸어서 횡계. 버스를 이용하여 횡계시외터미날- 강릉시외터미날, 강릉시외터미날- 신영극장, 신영극장-성산면사무소, 성산면사무소에서 14:25분버스로 닭목재 15시 도착. 성산면에서 닭목령 가는 도로는 저수지를 지나는 험한 고갯길. 흙길, 풍력발전기, 태양광발전 부지, 안반데기 배추밭. 성산면 오봉서원

백두대간산행 2021.04.26

백두대간 종주 제 15일차 21.04.11 ( 조침령-진동호 4km 구간 )

백두대간 종주 제 15일차 21.04.11 ( 조침령-진동호 4km) 조침령터널입구 주차, 조침령으로 올라 북진하여 단목령까지 가려하였으나 체력이 소진하여 진동호( 양수발전용 인공호수)까지만 가다. 곰배령과 점봉산( 서쪽 입구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이 동쪽 입구는 산림청이 각기 관리), 진동리,아침가리, 내린천, 산악군단, 현리의 많은 군인아파트들이 보인다. 추후 진동호에서 단목령구간을 등산하고 곰배령도 가야할 것이다.

백두대간산행 2021.04.16

백두대간 종주 제 14일차 21.04.10 ( 대관령-매봉 12km 구간 왕복)

백두대간 종주 제 14일차 21.04.10 ( 대관령-매봉 12km 구간 왕복) 대관령휴게소 주차후 선자령 곤신봉 매봉 왕복. 삼양식품의 대관령목장 초지가 백두대간구간과 겹쳐있다. 백두대간 보호에관한 법률 제정이전에 삼양식품이 이 지역 국유림을 매입하거나 임차하여 초지및 관광상품으로 이용중이다. 백두대간 추풍령 구간의 금산이라는 산도 백두대간구간의 암석지대로서 영동군에서는 허가를 하여 채석작업이 이뤄져서 금산의 반이 잘려나가고 김천시 관할지역에 해당하는 금산의 반쪽만 살아남아 간신히 백두대간 등반로가 유지되고 있지만 반 잘려나간 금산의 풍경은 민망스럽다. 대관령 삼양목장 초지도 관광객들에게 입장료를 징수하며 또한 등산객들에게도 통행금지를 유도하고 있으며 초지구간 지나는 등산객들에게 역시 입장료를 요구하고..

백두대간산행 2021.04.16

백두대간 종주 제 13일차 21.03.28 ( 상주 피앗재-상주 화령재 16km 8시간)

임진란 전투 기념 유적지를 처음으로 다가가 보았다. 20여년전 충주와 울산을 주말에 오갈때 상주 지나면서 한 번도 살펴 보지 않았다. 임진왜란 당시 계속 후퇴만 하다가 상주지역에서 대항 전투를 치른 것을 기념하는 유적지라한다. 상주 백두대간평화휴게소에 주차. 버스를 타고 상오리하차. 민가지역을 지나 피앗재를 향한다 오미자밭이 특히 눈에 띤다. 보통 상오리에서 피앗재를 가는 길은 이용치 아니한듯 몇번 길을 잃고 험한 길로 오른다. 피앗재, 형제봉,갈령삼거리,못재,전망대,비재,봉황산, 화령. 몇번 헛걸음길로 인해 9시부터 5시까지 8시간 산행. 힘 들었다. 비가 계속오고 바람도 불어서인지 단 한 명의 등산객도 못보았다. 손시렵고 추웠다.

백두대간산행 2021.03.29

백두대간 종주 제 12일차 21.03.27 ( 상주 지기재-상주 큰재)

백대간 종주 제 12일차 21.03.27 ( 상주 지기재-상주 큰재) 하남 출발, 도중에 산불 발견하여 119 신고하며 큰재(상주 백두대간생태 학습원) 주차. 도보로 반진계(반계리)까지 1시간30분동안. 반진계에서 모서행 버스, 모서에서 지기재가는 버스로 환승 지기재에서 9시에 산행시작. 마주오는 단체팀 인원들 , 다들 서로 거리두고 대화도 없이 간다. 선두와 후미가 2시간이상 차이나게 진행되다니..놀랍다. 안심산,개머리재, 백학산,윗왕실,개터재,회룡재,회룡목장(아주 큰 한우목장) 큰재도착 4시. 7시간 산행. 계획했던 옥동서원 관람 그리고 길가의 구판장 매점 풍경. 상주 시내로 들어가서 식사와 야경. 상주시는 삼백의 도시( 쌀,누에,곶감)라했는데 요즘엔 누에는 없어지고 내가 보기에 포도와 한우가 강세인..

백두대간산행 2021.03.29

백두대간 종주 제 11일차 21.03.20,21 그 둘째날(추풍령-상주 큰재)

백두대간 종주 제 11일차 21.03.20,21 그 둘째날(상주 큰재 - 추풍령면 작점고개) 10.5km 4시간 추풍령면에서 오지버스 07:00 타고 웅북리 중웅하차 0:720 중웅에서 산넘어 상주 큰재도착(상주시 백두대간생태교육장)에서 부터 백두대간 산행 시작, 웅이산(국수봉),용문산,무좌골산,작점고개 이후 도로를 따라 추풍령면에 도착. 2월 지난 2월20일 하늘재에서 마패봉구간 산행시 마주쳐 만난 백두대간 나홀로 분도 다시 만남.

백두대간산행 2021.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