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6

백두대간 종주 제 10일차 21.03.20,21 그 첫날 하루(추풍령-상주 큰재)

영동 추풍령- 상주 큰재 17km 중 첫날 추풍령에서 작점고개까지 7km 2시간 3월 20 새벽 6시 옥천 도착하여 부소담악, 이지당을 담다. 이지당은 조선시대의 서당으로서 주변 경치에 잘 조화된 모습이 좋다. 허나 부소담악은 배를 타고 접근하거나 호수 주변부 등산을 해야 제대로된 모습을 볼 수 있을 정도로 부소담악을 중심으로 주택및 건물들이 들어서 있어 여행자들이 하게 조망키에는 어려운 지경이다. 영동으로 들어간다. 난계박연의 생가, 소석고택,영국사,자풍서당,성위제가옥,김찬판댁,규당고택,향교를 둘러본다. 황간으로 간다. 노근리추모공원, 남성공원의 향교,가학루, 흥학당, 백화산 자락의 반야사 추풍령면으로 들어간다 추풍령역급수탑공원 쇠락한 작은 동네 여기까지 하고나니 오후2시 , 그래 백두대간 구간산행 오..

백두대간산행 2021.03.23

백두대간 종주 제 9일차 21.03.06(상주 화령재-지기재 구간)

상주시 화령재 주차하고 남진 산행 시작. 화령재가 주요 출발 도착점이라 등산객들 쓰레기가 많다. 화령재에서 개머리재까지 가기로 하였으나 중간에 길을 잃어 계곡길로 돌아가는 바람에 개머리재에 이르지못하고 지기재까지만 감. 지기재에서 도보로 모서면 버스정류장에 가서 버스로 화령재에 도착하여 귀가 출발. 올해 대박을 터뜨린 샤이니머스킷 포도때문인지 상주시 여기저기 수많은 비닐하우스가 보인다. 아마도 샤이니 머스킷을 위한 신설된 비닐하우스인듯 외관이 깨끗하다. 모서면에서 버스 기다리며 둘러본 모서면 풍경, 모서초등학교 교정과 학교내 오래된되고 자그마한 목조건물 한 채와 어떤 스님에 대한 공덕비. ( 귀가하여 검색하고 전화하여 알아보니 이 목조건물은 모서초등학교 출신 스님이 학교에 기증한 것이며 이 건물과 유사한..

백두대간산행 2021.03.19

백두대간 종주 제 8일차 21.02.28(하늘재-마골치 구간)

3월1일부터 산불방지를 위하여 전국 주요 등산로가 폐쇄되기에 충주에서의 이틀째 산행을 한다. 백두대간 구간중 마골치 이후 대미산, 벌재 구간은 법정금지구간이기도 하다. 오늘은 하늘재 미륵리에 주차 하늘재, 포암산, 마골치를 거쳐 만수대 계곡길로 하산. 쵸코렛,두유,육포로 점심. 하늘재에는 문경에서 오르는 차량통행로와 주차장이 보인다. 허리 아프지만 이틀간의 산행 즐거웠다.

백두대간산행 2021.03.02

백두대간 종주 제 7일차 21.02.27(신선암봉-마패봉 구간)

소조령( 국도 3번상의 낮은 고개)의 연풍스포츠 공원에 주차) 3번국도 구도로로 걷던 중 대형암석 도로에 낙하, 경찰에 신고하니 10여분만에 출동 (오후 이지점 부근 다시 통과하니 낙석제거 대형공사 진행) 도보로 한섬지기계곡길로 신선암봉으로 5km 걷는다. 보통의 백두대간 들머리 날머리가 아니다보니 길에 등산객들 등행 흔적이 적다. 신선봉 , 깃대봉 , 마패봉 가는 길 오르내리막이 많고 계단시설과 로프 설치 구간도 적지않다. 2인이 두 대의 차량을 이용하여 들머리 날머리에 각기 주차를 하는 방식으로 산행접근 거리나 시간을 단축하는 젊은 친구들, 혼자 백두대간 하지만 부인이 들머리주차장 대기하였다가 산행 마치는 시각에 날머리로 와서 남편을 태우는 중년 부부의 모습도 보인다. 문경새재 3관문을 지나 마패봉에..

백두대간산행 2021.03.02

백두대간 종주 제 6일차 21.02.20( 하늘재-마패봉)

하남 집에서 8시출발 승용차를 달려 10시 충주 월악산 사문리 지릅재 탐방안내소에 주차. 걸어서 미륵리로 가니 20여년 이전에 보아온 미륵불은 공사가림막으로 가려져있다. 미륵리 가게에서 동동주를 한 병 사서 배낭에 그리고 하늘재로. 하늘재에 이르니 좌로가면 포암산, 마골치로 가는 백두대간 북진길 우측으로 가면 남진하는 탄항사, 부봉, 마패봉 가는 길. 우측 남진길로 가는 길머리에서 방심한 결과 길 잘못 들어 잠시 20분간 허비한 뒤에 목적했던 길로 올라 3명의 북진하는 백두대간 꾼들을 본다. 모두다 단독으로 하는 산행들이지만 서로들 반가히 맞이한다. 날이 흐린편이라 사방 풍경이 선명치 않다. 멀리 월악 영봉, 포함산, 6개 줄지은 부봉들의 모습들이 그래도 기분을 좋게한다. 마패봉에서 내리막길로 들어 지릅..

백두대간산행 2021.02.22

남도 기행 준비

지리산 둘레로 6개 소도시, 그 곳에 가볼만한 식당들에 관한 책 요약 지리산은 맛있다 2013년 작 이 윤화 글 사진 둘레길을 거니며 지리산 자락을 먹다 파트 1 구례 01 부부식당 - 다슬기수제비( 부추의 뜨끈한 만남) 02 동아식당 -가오리찜과 돼지족탕 03- 목화식당 - 소내장탕 04 우리밀전문점 05 산채식당= 산채정식 (마산면) 06 심원청기와집- 산채정식, 숯불닭갈비(예약) 파트 2 남원 01 새집추어탕 02 현식당- 추어탕 03 심원첫집 (신촌동)-산채정식 04 에덴식당- 산채백반 05 지산장- 숯불고기한정식 06 박토랑-박속낙지연포탕 파트3 산청 01 송림산장- 오리십전대보탕 02 예담촌맛집 (예담원)- 고택주문식한정식 03 산촌 -한정식 04 약초와 버섯골 05 늘비식당- 어탕국수 06 ..

노후준비 2021.02.18

백두대간 종주 기본 계획 변경 20.12.21

백두대간 종주 기본 계획 변경 20.12.21. 2020년 8월 부터 백두대간 진행을 진부령부터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마치는 남진을 하기로 하였으나 그 동안 태풍및 산불방지등의 사유로 일부 구간이 입산금지되고 코로나로 인하여 동해안 방향 교통량 체증으로 불가피하게 계획을 아래와 같이 수정된다. - 교통상황, 입산통제상황,등로 결빙및 폭설등을 감안하여 남진을 원칙으로하되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골라서 하기로. 즉, 곶감 빼어먹듯이 700KM 대략45개 구간을 골라서 하기로함. 2022년 봄까지 앞으로 15개월 60주간 이내에 마쳐야됨.

백두대간산행 2020.12.21

백두대간 종주 제 5일차 20.12.19

충북 괴산군 이화령- 마패봉 구간( 왕복 18 km 6시간) 예정하였으나 이화령- 조령산-신선암봉 왕복 8km (5시간) 실행. 아이젠을 찰 정도의 눈과 양호한 시야 그러나 로프 구간과 계단데크 그리고 양옆이 절벽인 좁은 능선길. 주흘산을 중심으로 한 넓게 펼쳐진 산군들 . 조만간 이어질 신선암봉에서 마패봉구간까지의 구간이 기대된다.

백두대간산행 2020.12.18